본문 바로가기

알에서 깨어나오다, <데미안>BY헤르만 헤세

반응형

책 <데미안>은 1919년 책이 발간되었습니다. 이 책의 저자는 에밀 싱클레어였습니다. 분명 헤르만 헤세인데 왜 에밀 싱클레어였을까요? 헤르만 헤세는 필명을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독일인이 헤르만 헤세는 1차 세계대전 직후 자신의 이름으로 책을 내면 비난을 받게 되기 때문에 필명을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책은 사람들 사이에서 유명해졌습니다.  그래서 서 사람들은 이 무명의 작가에 대해서 궁금해하였습니다. 에밀 싱클레어는 누구인가?라는 호기심을 갖습니다. 

책 속의 문체가 헤르만 헤세라는 것을 알게 된 후, 1920년에는 본인의 이름인 헤르만 헤세로 발간하였습니다. 

<데미안>은 2차 세계대전 성경 다음 독일 전사자 유품에서 발견된 책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전쟁 당신 군인들에서도 많은 위로가 되는 책이었다고 합니다. 

 

필명을 썼던 에밀 싱클레어는 작가 헤르만 헤세의 방황을 돌아보는 모습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속에서 끊임없이 내면의 소리를 내는 존재 '데미안'이 있습니다. 

 

1. 알속의 싱클레어

주인공 싱클레어는 신실한 기독교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그래서 부모님이 세운 교육과 생활 습관대로 생활을 합니다. 싱클레어는 자신의 집의 모습이 아버지의 세계라고 합니다. 그리고 싱클레어는 자신이 사는 세계라고도 합니다. 집안에는 하녀들이 있고, 주정뱅이들이 있는 세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정해진 생활 속에서 사는 자신의 세계가 맞닿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맞닿아 있는 세계가 싱클레어가 살고 싶어 하는 곳이라고 합니다. 밝은 세계이자, 안전한 곳에서 살고 있는 세계는 싱클레어에게는 지루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던 중 싱클레어는 친구들에게 자신이 도둑질을 했다고 거짓말을 합니다. 어린 나이에 친구들에게 강해 보이고 싶어서 그런 거짓말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거짓말은 오히려 친구 프란츠 크로머에게 협당을 당합니다. 그래서 자신이 하지 않은 나쁜 일이 자신의 약점이 된 상황에 혼란스러워합니다. 

 

 

2. 전학생, 데미안

전학생 데미안, 싱클레어와 크로머와의 문제를 간파합니다. 데미안과 싱클레어는 함께 하교하는 길에 데미안이 싱클레어에게 제안을 합니다. 자신이 해결해 주겠다고 합니다. 그다음 날부터 프란츠크로머는 싱클레어를 괴롭히지 않습니다. 

과연 어떡해 데미안이 해결했을까요?

 

시간이 흘러, 싱클레어는 방탕한 생활을 합니다. 그래서 학교에서는 문제아로 여겨졌습니다. 어린 시절 프란츠크라머의 존재가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원래 밝은 세계 속에서 살아가려고 하던 그는 다시 그 세계 속으로 들어가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어둠을 몰아내기 위해서 신 앞에 무릎을 꿇기도 합니다. 자신의 방황을 바로 잡아줄 존재가 필요했던 것입니다. 그 존재가 바로 데미안이었습니다.  

 

어느 날 학교 쉬는 시간에 자신의 책 속에 쪽지 한 장이 껴 있었습니다. 그 쪽지에는 유명한 구절이 적혀 있었습니다.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이다. 

 

아브락사스는 어떤 신일까요?

 

시간이 흘러서 그들은 각각 전쟁에 참가하게 됩니다. 싱클레어에게 포탄이 떨어져서 크게 부상을 입게 됩니다. 싱클레어가 눈을 떠보니 자신 옆에 다른 매트리스가 있었습니다. 그 매트리스에는 싱클레어를 바라보는 데미안이 있었습니다. 데미안은 싱클레어에게 말을 합니다. 자신의 내면에 귀를 기울이라고 말을 합니다. 그다음 날 눈을 떴을 때는 옆 매트리는 비어 있었습니다. 데미안의 마지막말로 싱클레어는 스스로 본인의 내면의 소리를 들으려 할 것입니다. 

 

 

 

어린 시절 부모의 정해진 틀에서 살아가는 자신에서 스스로 성장해 나가는 성찰적인 책입니다.  독립을 한다는 것은 본인 내면의 탐구와 비판적인 사고도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데미안은 말뿐인 자아 성장을 하라고 하지 않습니다.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직접 부딪치고, 책임의식을 갖고 살라고 합니다. 이런 교훈 때문에 학생들에게 권고하는 책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어른이 이어도 심리적으로 성장하지 못한 어른들이 많습니다. 어른도 때로는 힘든 순간이 찾아옵니다. 그때마다 데미안과 같은 존재가 있으면, 싱클레어처럼 앞으로 성장해 나가는 사람이 될 거라 생각됩니다. 

 

반응형